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왜 포스코와 현재제철은 후판 가격을 올렸나? (철강업, 조선업, 관세 영향)

by wisetactician 2025. 4. 28.

후판 가격 - 철강업 관련 사진

 

– 중국 반덤핑 관세, 철강-조선업계에 미친 영향 총정리


1. 개요 ✨

2025년 4월, 국내 철강업계에 큰 뉴스가 터졌습니다.
포스코와 현대제철이 후판(厚板) 가격을 대폭 인상하기로 결정한 것입니다.
특히 조선사에 공급하는 후판 가격이 1분기 대비 톤당 80만 원 이상으로 뛰었습니다.

그런데 왜 갑자기 가격을 올린 걸까요?
핵심 원인은 바로 중국산 후판 수입 급증정부의 반덤핑 관세 부과였습니다.


2. 후판이란 무엇인가요? ⚙️

  • 후판은 두께 6mm 이상의 철판으로, 주로 선박 제조, 플랜트, 건설용 구조물 등에 사용됩니다.
  • 특히 조선 산업에서는 전체 제조 원가의 20% 이상을 차지할 만큼 핵심 자재입니다.
  • 가격이 조금만 변동해도 조선사들의 수익성에 큰 영향을 줍니다.

3. 중국산 후판, 얼마나 수입됐나? ️

최근 3년간 중국산 후판 수입량을 보면 상황이 심각합니다.

연도수입량 (톤)
2022년 813,000
2023년 1,309,000
2024년 (예상) 1,381,000
  • 무려 2년 만에 70%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 중국 업체들은 초저가 전략으로 국내 시장을 적극 공략했고, 국내 철강사들은 가격 방어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4. 정부, 결국 반덤핑 관세 부과! ️‍⚖️

  • 2025년 4월, 한국 정부는 중국산 후판에 27.91~38.02%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이 조치로 중국산 후판 가격이 올라가면서, 국내 철강사들의 가격 협상력이 급상승하게 된 것이죠.
  • 포스코, 현대제철은 이를 계기로 조선사들과 2분기 가격 협상을 완료했습니다.

✨ 참고: 반덤핑 관세란?
외국산 제품이 국내 시장에 부당하게 싼 가격(덤핑)으로 판매될 때 부과하는 추가 관세입니다.


5. 포스코-현대제철 후판 가격 인상 결정 ️

  • 포스코는 2분기 후판 가격을 톤당 80만 원 이상으로 인상했습니다.
  • 1분기에는 톤당 70만 원대 중반이었으니, 한 번에 꽤 오른 셈입니다.
  • 현대제철도 비슷한 수준으로 조선사들과 가격 협상을 마쳤습니다.

가격 인상 배경 요약

  • 중국산 저가 공세 차단
  • 원자재(철광석, 원료탄) 가격 상승
  • 국내 후판 공급 부족 우려
  • 철강사 수익성 개선 필요

6. 철강사 실적에 미치는 영향 ️

후판 가격 인상 덕분에 포스코와 현대제철 모두 실적 개선이 기대됩니다.

연도포스코 영업이익 (억원)현대제철 영업이익 (억원)
2022년 22,950 16,165
2023년 20,830 7,983
2024년 (예상) 14,730 1,595
  • 포스코는 후판 매출이 전체 매출의 약 **20%**를 차지하는 만큼, 이번 가격 인상이 실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 현대제철도 후판 사업 부진으로 적자가 우려됐지만, 숨통이 트일 전망입니다.

7. 조선업계는 울상 ️

하지만 조선사들은 이 상황을 반기지 않고 있습니다.

조선업계의 고민

  • 후판 가격 상승 → 선박 제조비용 20% 이상 상승
  • 해외 수주 경쟁력 약화
  • 특히, 중국 조선사들과 가격 경쟁에서 밀릴 가능성

국내 조선사들은 "후판 가격을 너무 올리면 수주 경쟁력이 떨어질 것"이라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글로벌 조선 시장은 가격 경쟁이 치열해, 단가가 조금만 올라가도 수주 실패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8. 앞으로의 전망은? ️

  • 철강사 입장: 실적 개선 기대
  • 조선사 입장: 원가 부담 심화

이런 상황이 장기화되면,

  • 일부 조선사들은 저가 중국산 후판을 계속해서 수입할 수도 있습니다.
  • 정부와 철강업계가 조율 창구를 마련해, 조선업계의 원가 부담을 완화할 협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 마무리 정리

포스코와 현대제철의 후판 가격 인상은
중국산 저가 공세 차단자체 수익성 회복이라는 명확한 배경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 여파로 국내 조선사들의 수익성 악화수주 경쟁력 약화라는 부작용도 예상됩니다.

➡️ "철강사-조선사 간 균형 잡힌 협상"
이 앞으로 업계 전체의 성장에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될 것입니다.


✅ 한국 주식 투자자라면 이렇게 보세요

  • 철강주(포스코, 현대제철):
    단기적으로는 수익성 개선 기대로 주가에 긍정적일 수 있습니다.
    특히 포스코홀딩스(POSCO홀딩스)는 2차전지 소재 사업 외에도 본업(철강) 안정화에 주목할 만합니다.
  • 조선주(한국조선해양, 한화오션 등):
    원가 부담 상승 리스크가 부각될 수 있으니, 선별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수주잔고가 탄탄하고 고부가가치 선박(예: LNG선)을 많이 보유한 조선사는 상대적으로 리스크가 적습니다.
  • 전체 시장 관점:
    이번 후판 가격 인상은 인플레이션 압력을 자극할 수 있어, 제조업 전반에 영향이 확산될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합니다.

➡️ 요약:
철강주는 긍정적 모멘텀,
조선주는 리스크 관리 필요,
시장 전반에는 신중한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은 자기 자신에게 있는 것을 명심하시고, 우리 함께 공부합시다.”